본문 바로가기

Java5

[java 정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II (1) 상속 기존의 클래스를 재사용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하는 것 자손클래스는 조상클래스의 모든 멤버를 상속받는다 (생성자, 초기화블럭을 제외하고) 자손클래스의 멤버 개수는 조상클래스보다 항상 같거나 많다 단일 상속을 원칙으로 한다 Object 클래스는 모든 클래스의 조상이다 클래스명 뒤에 extends 상속받을 클래스 class Tv { boolean power; int channel; void power {power =! power;} void channelUp() {++channel;} void channelDown() {--channel;} } class SmartTv extends Tv { //Tv 클래스를 상속받은 SmartTv 클래스 boolean caption; void displayCaptio.. 2022. 7. 26.
[java 정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I (2) 기본형 매개변수, 참조형 매개변수 기본형 매개변수 : 변수의 값을 읽기만 할 수 있다. 참조형 매개변수 : 변수의 값을 읽고 변경할 수 있다. class Data {int x;} class Ex{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Data d = new Data(); d.x = 10; System.out.println("main() : x ="+d.x); change(d.x); //1000 System.out.println("main() : x = "+d.x); //10 (change의 x만 변경된 것) } static void change(int x){ //기본형 매개변수 x = 1000; //x의 값을 바꾸기만 함 System.out.println("change(.. 2022. 7. 2.
[java 정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I (1) 객체지향 언어 특징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다 코드의 관리가 용이하다 (객체간의 관계, 유지보수) 신뢰성 높은 프로그래밍이 가능 (데이터 보호, 코드의 중복을 줄임) 클래스와 객체 클래스 객체를 정의해 놓은 설계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사전적인 의미에서는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이나 개념을 뜻하며 프로그래밍에서는 속성과 기능을 묶어놓은 것을 객체(인스턴스)라 한다 속성은 멤버변수 (필드), 기능은 메서드(함수)라 한다 클래스 작성하기 Hello2.java public class Hello2 {} class Hello3 {} //public 클래스는 하나만 존재해야하며 있을 경우 소스 파일의 이름과 동일해야 한다 객체 생성하고 사용하기 객체를 생성해야 해당 클래스의 필드와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클래스명 참조변수명.. 2022. 7. 2.
[java 정리] 변수, 상수, 리터럴, Scanner 변수 : 하나의 값을 저장 가능한 저장공간 형식 변수타입 변수명; 변수의 타입 boolean : true/false char : 문자 하나 (''안에 입력한다) byte : 정수 1byte short : 정수 2byte int : 정수 4byte (기본형) long : 정수 8byte float : 실수 4byte double : 실수 8byte String : 문자열 (""안에 입력한다, 참조형) 상수 : 한번 값을 저장하면 재할당이 불가함 (변하지 않는 수) final int MAX_VALUE = 10; 상수의 변수명은 대문자로 작성하자! 리터럴 : 그 자체의 값 의미 int a = 10; 10이라는 값이 리터럴이다 문자열의 결합 문자열 + 다른 타입 = 문자열 다른 타입 + 문자열 = 문자열 예시1.. 2022. 6. 28.